좋은 일자리 창출은 최고의 복지입니다
더 좋고, 더 많은 일자리로 시민과 함께 사람 중심 서구를 만들어 가겠습니다.

정보마당
인구변화
전국 대비 인구규모
서구의 인구는 291,231명으로 전국 (51,638,809명) 대비 0.56%, 광주광역시 인구수(1,441,611명)의 20.20%를 차지
서구 주민등록인구 현황
(단위: 명, %)
구분 | 계 | 비율 | 남 | 비율 | 여 | 비율 | 비고 (‘20년대비 증감) |
---|---|---|---|---|---|---|---|
전국 | 51,638,809 | 100% | 25,746,684 | 100% | 25,892,125 | 100% | △190,214명↓ |
광주광역시 | 1,441,611 | 2.79% | 713,015 | 2.77% | 728,596 | 2.81% | △8,451명↓ |
서구 | 291,231 | 0.56% | 142,721 | 0.55% | 148,510 | 0.57% | △5,345명↓ |
연령별 인구구조
인구현황 : 296,576명(’20년말) ⇒ 291,231명(’21년말)/5,345명↓
서구 연령별 인구 현황
(단위: 명, %)
구분 | 연령별 | 2019 | 2020 | 2021 | 인구수 증감 ('20~'21) |
|||
---|---|---|---|---|---|---|---|---|
인구수 | 비율 | 인구수 | 비율 | 인구수 | 비율 | |||
서구 | 계 | 300,975 | 100 | 296,576 | 100 | 291,231 | 100 | △ 5,345명↓ |
0 ~ 19세 | 57,173 | 19.0 | 53,342 | 18.0 | 50,037 | 17.7 | △ 3,305명↓ | |
20 ~ 29세 | 45,312 | 15.1 | 45,348 | 15.3 | 44,576 | 15.3 | △ 772명↓ | |
30 ~ 39세 | 38,902 | 12.9 | 36,685 | 12.4 | 35,000 | 12.2 | △ 1,685명↓ | |
40 ~ 49세 | 50,421 | 16.8 | 48,764 | 16.4 | 46,978 | 16.3 | △ 1,786명↓ | |
50 ~ 64세 | 68,921 | 22.9 | 69,966 | 23.6 | 70,691 | 23.9 | 725명↑ | |
65세이상 | 40,246 | 13.4 | 42,471 | 14.3 | 43,949 | 14.7 | 1,478명↑ |
- 서구의 인구수는 2021년 12월 기준 291,231명으로, 2020년 대비 1.8% 감소하였으며, 인구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50세이상 신중년 및 65세 이상 인구를 고려한 고용정책에 대한 관심 필요
고용동향
서구 고용동향
(단위: 명, %)
구분 | 2020년 | 2021년 | 2022년(예상치) | 증감률(‘20~’21) | 비고 |
---|---|---|---|---|---|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 | 72,180 | 73,526 | ⁕⁕74,500 | 1.9% | |
⁕(워크넷) 취업률 | 35 | 35.4 | ⁕⁕36.5 | 1.1 |
최근 2년간 광주 고용동향
(단위: 명, %)
구분 | 15세이상 인구 | 경제활동인구 | 취업자 | 실업자 | 고용률 | 실업률 | 경제활동참가률 | 비고 |
---|---|---|---|---|---|---|---|---|
2020년 | 1,274,000 | 778,000 | 748,000 | 30,000 | 58.7 | 3.9 | 61 | |
2021년 | 1,280,000 | 772,000 | 745,000 | 28,000 | 58.2 | 3.6 | 60.3 |
- 노동시장 활성화를 위해 청년들이 떠나지 않고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청년∙여성(경력단절)∙구직단념자 등에 대한 맞춤형 ́ 일자리 종합정책 필요
2021년 광주 서구 고용동향
(단위: 명, %)
15세이상 인구 | 경제활동인구 | 취업자 | 실업자 | 고용률 | 15세~64세 | 실업률 | 경제활동참가률 | 비고 |
---|---|---|---|---|---|---|---|---|
256,100 | 157,900 | 153,400 | 4,500 | 59.9 | 65.2 | 2.8 | 61.7 |
산업구조
사업체 현황(고용보험 가입)
고용보험 성립 사업장 수 |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 |
---|---|
14,529개소 (광주63,312개소) |
73,526명 (광주: 309,402명) |
주요산업
- 서비스업 3,897개소(26.8%) / 33,837명 (46.0%)
- 도매 및 소매업 3,564개소(24.5%) / 7,963명(10.8%)
- 건설업 1,992개소(13.7%) / 6,6449명(8.8%)
- 숙박 및 음식점업 1,992개소(13.7%) / 3,671명(5.0%)
- 부동산업 835개소(5.7%) / 6,175명(8.4%)
- 제조업 및 광업 689개소(4.7%) / 9,235명(12.6%)
- 정보통신업 252개소(1.7%) / 1,507명(2.0%)
- 운수 및 창고업 181개소(1.2%) / 3,355명(4.6%)
- 금융 및 보험업 166개소(1.1%) / 923명(1.3%)
- 농어업 및 임업 12개소(0.1%) / 10명(0%)
- 기타 60개소(0.4%) / 401명(0.5%)
- 산업단지가 없어 제조업보다는 서비스업, 도매․소매업 중심이며 행정, 금융, 컨벤션 등 상무지구를 중심으로 비즈니스 허브 형성
- 양동시장, 신세계백화점, 유스퀘어 등 쇼핑과 교통이 편리한 상업과 유통의 중심지역
종사자 규모별 사업체 수
(단위: 개소, %)
구분 | 사업체수 | 증감률 | 구성비 | ||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전체 | 13,424 | 13,589 | 14,529 | 6.9 | 100 |
1 ~ 4명 | 10,347 | 10,570 | 11,361 | 7.5 | 78.2 |
5 ~ 99명 | 2,981 | 2,927 | 3,082 | 5.3 | 21.2 |
100 ~ 299명 | 78 | 76 | 70 | -7.9 | 0.5 |
300명 이상 | 18 | 16 | 16 | 0 | 0.1 |
재정 및 행정여건
- 행정여건
- 민선7기부터 서구 일자리위원회 최초 구성과 일자리정책과 신설을 시작으로 청춘발산공작소 운영, 마을문제해결형 사회적경제 육성, 광주리 장터 등 지역 맞춤형 일자리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 2021년 창업플랫폼 「서구 START UP CENTER」를 개소하고 일자리 정책과에 청년활력팀을 신설하여 일자리청년지원과로 개편함으로써 청년과 일자리 정책 연계로 청년창업과 취업문제 해결 기반을 강화
- 재정여건
- 서구의 재정자립도는 2022년 기준 15.7%로 열악한 수준이며 광주 자치구 중에서는 광산구 다음으로 두 번째임
- 일자리 재정규모는 92,790백만원으로 작년(84,635백만원)에 비해 9.6% 증가함
지역적 특성과 외부환경 여건
- 산업단지가 없는 서구는 서비스업 중심으로 유통서비스, 금융 및 보험서비스 등의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음
- 유스퀘어를 중심으로 신세계백화점, 광주 최대 전통시장인 양동시장, 세정아울렛, 광주아울렛, 롯데아울렛 등 패션 유통서비스업체 밀집 으로 관련 종사자 및 소상공인 등에 대한 지원 수요가 많은 편임
- 대학이나 연구소는 물론 I-PLEX 같은 지식산업센터 등이 부재하여 일자리 인프라가 매우 열악한 실정임
- 서구는 상무지구(광주시청, 한국은행 등 공공기관 밀집), 유스퀘어 (문화와 쇼핑, 교통의 허브 기능) 등이 소재
- 정주인구 대비 유동인구가 많은 편이고 특히 청년들을 위한 문화 여가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시장 악화로 기업들의 신규채용 악화
- 서비스업 위주의 산업구조를 지닌 서구의 경우 코로나19 영향으로 감소한 취업률이 회복되지 않고 있음.
SWOT 분석 및 과제 도출
강점(Strengths)
- 광주의 중심 교통의 중심지
- 상무지구는 행정·상업·금융의 비지니스허브 역할
-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쇼핑·관광·유통 분야 인력양성
- 청년 맞춤형 취·창업 거점공간을 구축 일자리 창출
약점(Weaknesses)
- 취약한 재정구조로 독자적인 일자리 사업 추진 한계
- 소비 위주의 사업체 구조로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 취약
- 산업단지 부재 및 제조업 생산 기반 취약
- 산∙학∙연 활성화를 위한 대학 등 교육기관 부재
기회(Opportunity)
- 상무지구 도심융합특구 지정에 따른 4차산업인프라 구축
- 농성역 창업플랫폼, 서구청 인근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 개소 등 청년 창업 지원 기반 강화
- 유관기관과 업무협약 체결 및 협업 추진으로 네트워크화
- 도시재생사업을 통한 자생적 일자리 창출 도모
위협(Threats)
- 타 자치구의 산업단지 개발과 지속적인 주택단지 조성으로 정주환경 변화
- 코로나19에 따른 지역경제 악화
- 경기침체·저성장 추세 지속
- 20~30대 청년 유출 지속
- 저출산·고령화에 대한 장기적 인구정책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