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업지원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 사업목적
기업은 청년 채용을 확대하고, 취업애로청년의 취업은 촉진하여 청년고용 활성화 도모
■ 사업내용
• (유형1) 5인 이상 우선지원대상기업에서 취업애로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고 6개월 이상 고용유지시 최장 1년간 최대 720만원 지원(유형2) 빈일자리 업종의 우선지원대상기업에서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 후 6개월 이상 고용유지시 최장 1년간 최대 720만원 지원하고, 해당 빈일자리 기업에서 18개월 이상 재직 청년에게 480만원 지원
• 지원대상 :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5인 이상*인 우선지원대상기업
- (유형1) 취업애로청년*을 채용한 5인 이상* 우선지원대상기업
* (취업애로청년) 만 15~34세 ▴4개월 이상 실업, ▴고졸 이하 청년 등
* 지식서비스·문화콘텐츠·신재생에너지 산업, 청년창업기업, 미래유망기업, 지역주력산업, 고용위기지역 소재 기업, 특별고용지원업종 기업은 1인 이상도 가능
- (유형2) 5인 이상의 제조업 등 빈일자리 업종의 우선지원대상기업 및 해당 기업에 취업 후 18개월 이상 재직한 청년
• 지원내용: 신규채용 청년 1인당 월 최대 60만원씩 1년간 지원
- (유형1) 기업에게 신규채용 청년 1인당 1년간 최대 720만원 지원
- (유형2) 기업에게 신규채용 청년 1인당 1년간 최대 720만원 지원,
근로자가 18개월이상 재직 시 2년간 최대 480만원을 지원
(18개월·24개월차 각 240만원씩 지원)
• 지원조건 : 정규직으로 채용 후 6개월 이상 고용유지 등
• 지원절차 :『고용24』에서 운영기관을 선택하여 참여 신청
▣ 문의처
광주권 (인근 시군 포함 )운영기관 관련 홈페이지: 고용24 누리집(www.work24.go.kr)
고용노동부 공정채용기반과(☏ 044-202-7448)
https://www.moel.go.kr/policyitrd/policyItrdView.do?policy_itrd_sn=200
※ 세부내용은 반드시 해당 홈페이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청년일경험지원
■ 사업목적
직무역량을 중시하는 채용 트렌드 변화에 대응하여 청년층의 일경험 수요를 충족하고 민·관협업을 기반으로 미취업 청년에 다양한 양질의 일경험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노동시장의 원활한 진입을 지원
■ 사업내용
• (지원대상) 만 15세~34세 미취업 청년
• (지원내용) 청년의 수요에 맞는 다양한 일경험 프로그램 제공
① (인턴형) 기업에서 과업을 수행하면서 직무역량 강화(1~5개월 내외)
② (프로젝트형) 기업이 제안하는 실전형 프로젝트 수행(2개월 내외)
③ (ESG지원형) 청년의 취업역량 향상을 위해 기업이 ESG 경영차원에서 편성한 일경험, 직무훈련 등 참여(6개월 이내)
④ (기업탐방형) 현직자 멘토링, CEO‧인사 담당자 대화 등을 통한 진로탐색 지원(5일 내외)
■ 사업추진체계
▣ 문의처
일경험 상담센터(☏ 1811-8447), 일경험 포털(www.yw.work24.go.kr)
https://www.moel.go.kr/policyitrd/policyItrdView.do?policy_itrd_sn=202
※ 세부내용은 반드시 해당 홈페이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청년성장 프로젝트 (직장적응지원)
CEO, 중간관리 대상 청년친화 조직문화 교육으로 공감대 향상, 신입 청년 직원 대상 직장 적응 프로그램으로 고용 안정화 지원 등 통한 청년친화적 직장 문화 구축 지원
■ 사업개요
◦지원규모 : 180명 (관라자 90명, 신입직원 90명)
◦지원기간: 2025.3.~12.
◦지원대상 :
-기 업 (산업단지 내) 일반기업 (업종, 매출, 규모 제한 없음)
(산업단지 외) 우선지원대상기업 (산업별 기준 상이)
-참여자 (관리자) 근속기간, 업무, 직책 등 제한 없음
(신입직원 입사 3년 내외 , 청년층 해당
◦지원내용: 기업별 맞춤형 교육 설계·운영(강사료, 제반 비용 지원)
◦사업구분 : 보조사업(고용노동부, 광주광역시 북구청)
■ 사업내용
◦사업목적: 청년근로자의 퇴사율 감소를 위한 건강한 조직문화 조성으로 청년 근로자의 퇴사율 감소 및 업무 효율성 상승을 유도
-기업별 맞춤병 교육 설계·운영
-관리자 (조직문화) 리더십, 노사문화, 소통 공감, 인사관리, 조직변화, 갈등관리 등
-신입직원(온보딩) : 직장예절, 기본 오피스 교육, 기업 적응 훈련, 직장 적응 등
◦세부교육프로그램
구분 | 대상 | 주요내용 |
청년친화 조직문화 | CEO,중간관리자, 인사담당자 | 청년 세대 이해 및 소통, 청년 친화적 리더십 개뱔, 유연한 근무환경 조성, 지속가능한 청년 인재 관리 등 |
신입직원 온 보 딩 | 채용후 3년 이내 신입쳥년 근로자 (15세이상~34세 이하) | 회사의 의해 및 적응(조직문화)비즈니스 스킬 및 매너 교육, 업무 프로세스 및 직무 기본 역량 교육, 개인커리어 확립을 위한 목표 설정 및 피드백 |
▣ 문의처
한국광융합산업진흥회 인력양성팀 (www.kapid.org)
-전화 : 062-965-9633 , Fax : 062-605-9650
고교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일자리 채움 청년
■ 사업목적
고졸 청년의 취업 가능성 제고 및 구직 단념·고립 전환 사전 방지를 위해 고교 때부터 체계적 고용서비스 지원
▣ 사업내용
• (지원대상) 고등학교 재학생
* 특성화고 등 직업계고 재학생(1~3학년), 일반고 비진학 청년(2~3학년) 등
• (지원내용) 고교 재학생 대상으로 진로 상담, 취업활동계획 수립 및 이행관리, 졸업 후 사후관리 등 맞춤형 고용서비스* 및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직업훈련·일경험 등 연계 제공
* ① AI기반 직업·진로탐색 지원 ② 개인 맞춤형 직업 포트폴리오 설계 지원③ 개인 맞춤형 취업활동계획 수립 ④ 진로·직업체험 기회 제공 ⑤ 취업지원
프로그램 지원 ⑥ 장기성장로드맵 마련 등
• (운영 기관) 대학(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20개교
▣ 사업추진체계
▣ 문의처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국번없이 1350),
고용24(www.work24.go.kr)
※ 세부내용은 반드시 해당 홈페이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미래유망분야 고졸인력양성
■ 사업목적
4차산업혁명으로 인한 산업계의 변화에 대응하여 직업계고 학생들의 신산업 분야 직무능력 향상을 지원
■ 사업내용
• (지원대상) 신산업·신기술 분야로 교육부의 학과 재구조화 승인을 받은 학과 또는 신기술 훈련 지원이 필요한 직업계고 학과
• (지원내용) 신기술·신산업분야로 교과과정을 개편한 직업계고 학과 신입생을 재학 3년간 정규교육과정과 연계, 산업현장 수요를 반영한 민간기관 훈련프로그램 등을 체계적(1~3학년)으로 지원
* 학과당 8천만원 내외, 연차별 신규 학년이 추가되는 경우, 연계 훈련기관의 훈련비와 운영비 추가 지원(1개 학년 당 훈련비 5천만원, 운영비 400만원 추가 지원)
- 정규교육과정과 연계한 민간 훈련프로그램(연 100시간 이상) 지원
- 디지털 기초지식 함양을 위해 디지털 훈련과정 의무 이수
- 교사의 신기술분야 전문성 및 교수능력 함양을 위한 교원 연수 등
• (훈련방식) 1~3년차 단계적 지원
- (1년차) 신기술 기초지식 및 실습 위주 훈련(디지털기초훈련 의무 편성)
- (2년차) 신기술 전문지식 훈련 및 관심 제고(특강, 멘토링, 경진대회 등)
- (3년차) 기업 맞춤형 훈련 프로그램 운영, 취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및 취업 지원(산업계 수요 반영)
참여학과 및 훈련기관 선정 | ⇛ | 상반기사업 수 행 | ⇛ | 중간보고 | ⇛ | 상반기사업 수행 | ⇛ | 사업결과보고 및 정산차년도 사업계획제출 |
사업계회서 및 훈련프로그램운영계획서승인 | 훈련프로그램 , 교원연수등 사업운영 | 상반기추진실적 및 1차사업비추진현황에 대한 중간보고 | 훈련프로그램, 교원연수등 사업운영 | 사업운영실적에 대한 성과평가 실시 |
▣ 문의처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국번없이 1350), 고용24(www.work24.go.kr)
https://www.moel.go.kr/policyitrd/policyItrdView.do?policy_itrd_sn=220
※ 세부내용은 반드시 해당 홈페이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운영
■ 사업목적
대학 내 진로지도 및 취업 지원 기능을 공간적 일원화, 기능적 연계한 청년 친화 원스톱 고용서비스 전달체계인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구축을 지원하여 대학의 취업 지원역량 강화 및 청년의 원활한 노동시장 이행 지원
■ 사업내용
• (지원대상) 고등교육법 제2조에 의한 대학 및 산업대학, 전문대학에 해당하는 학교로서 취업지원 역량을 갖추고 있는 대학
* 고용서비스 제공 대상: 대학 재학생(휴학생 포함), 졸업생(2년 이내), 지역청년
• (사업방식) 정부·대학·지자체 매칭*, 대학은 민간 고용서비스기관과 컨소시엄 운영 또는 단독 운영
* 거점형: 7억(정부 4억, 보조율 57%), 일반형: 3억(정부 2억, 보조율 66.7%)
* 거점형: 지역산업 수요, 대학 특성 등을 반영한 특화 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지역청년 위주)
• (지원내용) 최대 5년간 운영비·프로그램 지원, 3회 우수평가 시 1년 연장
■ 사업추진체계
▣ 문의처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국번없이 1350), 고용24(www.work24.go.kr)
https://www.moel.go.kr/policyitrd/policyItrdView.do?policy_itrd_sn=220
※ 세부내용은 반드시 해당 홈페이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대학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 사업목적
재학 단계부터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조기에 지원하여 청년의 원활한 노동시장 진입 촉진
■ 사업내용
• (지원대상) 고등교육법 제2조에 의한 대학 및 산업대학, 전문대학에 해당하는 학교로서 취업지원 역량을 갖추고 있는 대학
• (사업방식) 대학은 민간고용서비스기관과 컨소시엄 운영 또는 단독 운영
• (지원내용) 인건비·프로그램비 등 운영비 지원
* (빌드업 프로젝트) 1:1 상담을 기반으로 직업·진로 탐색과 설계를 지원하고 희망직업 포트폴리오 수립 및 청년의 자기주도적 역량개발을 지원(대학 저학년 중심)
* (점프업 프로젝트) 취업역량 진단을 바탕으로 IAP 수립, 이에 따른 훈련·일경험 연계·취업스킬 등 맞춤형 서비스를 패키지로 지원 → 1년간 사후관리 및 참여수당 제공 (대학 고학년 중심)
■ 사업추진체계
▣ 문의처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국번없이 1350), 고용24(www.work24.go.kr)
https://www.moel.go.kr/policyitrd/policyItrdView.do?policy_itrd_sn=263
※ 세부내용은 반드시 해당 홈페이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광주형 청년일자리공제
지역 중소기업 재직 청년의 장기근속 및 지역 정착유도를 위해 청년, 기업
광주광역시 3자 공동으로 공제부금 24개월 적립
■ 사업개요
◦사업기간 : 2025.1.~12.
◦사업예산 : 860백만원
◦사업구분 : 보조사업(광주광역시)
■ 사업내용
◦지원대상 :
(기업) 광주시 소재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5인 이상 중소기업
(청년) 상기 기업에 정규직으로 재직 중인 만 19세 이상 만 39세 이하 광주 청년
◦지원기간 : 공제계약성립일 (계좌개설일) 로부터 24개월까지
◦지원인원 : 500명 (2024년 200명, 2025년 300명)
◦지원내용 : 청년, 기업, 광주광역시 3자 공동으로 공제부금을 24개월 적립 후 만기 시 적립금(1천만원)과 이자 (α)를 청년에게 지급
청년1인당 적립예상액
청년부담금 | 기업부담금 | 광주지원금 | 적립예상액 | |
매월 208,340 | 매월 83,340 | 매월 125,000 | 매월 416,680 | 만기24개월 10,000,320원 |
▣ 문의처
◦광주경제진흥상생일자리재단 일자리경제실 (www.gjep.or.kr)
- 전화 062-613-5998,5996
◦광주광역시 청년정책과
-062-613-3582 ,Fax : 062-613-2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