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적

문화유적
-
문화유산자료 제 5호
- 소 유 자 : 흥성장씨 문중
- 소 재 지 : 서구동하길 10 (세하동)
- 규 모 : 정면2칸, 측면2칸, 팔작 지붕
- 시 대 : 조선시대
- 지 정 일 : 1984년 2월 29일
만귀정은 이곳에 동족마을을 살고 있는 흥성장씨의 낙남선조인 만귀장창우가 후학을 가르쳤던 옛터에 후손들이 그 유덕을 기리기 위하여 1934년에 중건하였고 그 후 1945년에 중수한 것이다. 큰 연못 가운데에 세운 수중 정자인데 만귀정 외에 습향각, 묵암정사 등이 다리를 사이에 두고 한줄로 늘어서 있는 보기 힘든 정자군이다.
만귀정은 사방 2칸으로 정사각형 팔작 지붕이며 바닥에는 우물마루를 깔았다. 동, 서, 남쪽의 3방 향에는 난간을 돌렸다.
습향각은 1940년 묵암 장안섭이 연못 중앙의 중도에 사방 1칸으로 날렵하게 지은 정자이다.
그리고 가장 안쪽에 있는 묵암정사는 송정읍장으로 재직하였던 장안섭의 공로와 덕행을 기리기 위하여 1960년 광산군민이 성금을 모아 건립한 것이다. 역시 사방 1칸의 발작지붕이다.
만귀정, 습향각, 묵암정사 등에는 중건상량문, 중건기, 중수기 등과 만귀정원운과 팔경 등의 많은 시문현판이 걸려 있다. 또한 경내에는 만귀정시사 창립기념비가 세워져 있어 이곳이 문인들의 활동무대였음을 알 수 있다.
마당에는 왕버들 나무가 있고, 만귀정에서 습향각으로 건너가는 다리 옆 한쪽은 취석, 다른쪽에는 성석이라 새겨진 긴석재가 놓여 있어 취흥을 돋운 만귀정 주인의 흥취를 느낄 수 있다.